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벤츠 안전벨트 높이조정 및 자동텐션(장력)조절 하는 방법

자동차사용법

by 와이피카 2025. 10. 21. 01:18

본문

안전벨트는 사고 시 안전을 지켜주는 가장 기본적인 장치입니다.

 

보통 사고가 나게 되면 충돌 방향으로 몸이 쏠리면서 차체 내부에 부딪히면서 2차사고로 연결되어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게 됩니다.

이럴 때 안전벨트가 제자리를 유지하게 끔 해주면서 생존확률을 높여주는 것입니다.

 

벤츠 차량의 경우에는 벨트 착용 상태표시, 자동 텐션조정, 프리텐셔너 기능으로 안전기능을 한층 업그레이드 해주고 있는데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벨트 사용방법

기본 사용방법

벨트 플레이트(금속 부분)을 잡고 몸을 가로질러 당기고, 좌석 옆 빨간 버클에 딸깍 소리가 날 때까지 꽂습니다.

벨트가 꼬이지 않았는지, 어깨와 허리에 밀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해제할 땐 PRESS 버튼을 눌러 빼면 됩니다.

PRE-SAFE 문구가 새겨진 벤츠 차량의 안전벨트 금속 플레이트차량 좌석 옆에 위치한 빨간색 PRESS 버튼의 안전벨트 버클 소켓

 

높이 조절방법

도어 옆 기둥에 있는 벨트 고정 브래킷을 위/아래로 조절하면 어깨에 닿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어깨 중간쯤 높이로 맞춰주도록 합니다.

너무 위로 올리면 목을 스치고, 너무 아래면 어깨에서 벗어나 위험합니다.

도어 옆 기둥에 위치한 안전벨트 높이 조절 브래킷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장면

 

안전벨트 자동 텐션 조정기능

차량의 센터 디스플레이에서 [설정]→[차량] →[벨트조정] 항목을 보시면 벨트조정기능을 on/off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벨트를 착용했을때 사용자의 몸을 시트에 밀착시켜주는 수준까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텐션이 조정된 이후에는 자동으로 완화되어 편안한 착용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량 디스플레이의 벨트 조정메뉴 화면.

 

안전벨트가 불편해서 특히 아이들같은 경우에는 느슨하게 메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형에 맞는 수준까지 밀착시켜주는 것입니다.

 

프리텐셔너 기능

충돌이 감지되면 프리텐셔너(자동벨트당김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에어백과 거의 동시에 폭발식 가스 발생 장치로 벨트를 단0.02~0.05초 만에 강하게 당겨 몸을 시트에 밀착시킵니다.

 

안전벨트의 조임력은 기본 안전벨트 장력조절되는 기능보다 30배이상으로 순간적으로 압박해주는 것이며, 1회성으로 내부 가스 카트리지가 소모됩니다.


벨트를 강하게 당겨 상체의 급격한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충돌 충격을 최소화합니다.

 

에어백과 같이 평상시에 설정하거나 조작되는 일은 없으며, 충돌 감지시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기능구동 이후에 사용자가 일정한 힘이상으로 당겨주면 서서히 벨트를 풀어주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표시

운전자 또는 조수석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미착용한 상태에서 10km/h이상의 속도로 차량이 이동하였을 때 연속 경고음이 발생하며, 붉은 안전벨트 아이콘이 깜빡입니다. 지속적으로 미착용시에는 경고음의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옆좌석에 무거운 40kg이상의 짐을 싣게 되더라도 경고음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안전벨트 경고음 기능을 해제하는 것은 안전상의 이유로 불가능합니다.

계기판에 빨간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이 켜진 모습

 

 

장거리 운전 시 졸음을 감지해 경고신호를 안내하는 벤츠 어텐션어시스트(Attention Assist) 사용하

장거리 출장을 가서 업무를 보고 다시 돌아오던중에 장시간 운전으로 피로가 누적돼 저도 모르게 졸음운전을 한 적이 있습니다. 가슴이 덜컹 내려 앉고 휴게소를 가서 숙면을 취한 기억이 있습

bymecar.com

 

운전 중 앞차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벤츠 차간거리 확인 및 경고 기능사용법

운전자 보조 시스템 중에서 차간거리 확인 및 경고 기능은 앞차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위험 상황을 미리 경고해주는 기능입니다. 급정거나 돌발상황에서 추돌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

bymecar.com

 

 

 

 

 

관련글 더보기